Posts

한국서 유튜버 부추긴 구글..."미·유럽·인도서도 여론조작"

Image
구글의 초국가적 행동주의 지적..."독점적 지위 유지 위해 경쟁사 진출 방해" 구글이 국내에서 망 무임승차 방지법 논의에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볼모로 내세운 여론몰이가 학계에서도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행위가 다른 나라에서도 반복되던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정치적 목적을 위해 호응을 일으키는 전략으로, 이 같은 여론조작에 대해 “양의 탈을 뒤집어쓴 늑대”라는 날선 비난까지 나왔다. 덴마크 올보르 대학교의 로슬린 레이튼 박사는  20 일 한국방송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미디어정책학회가 마련한 ‘망 사용료 정책과 입법, 이슈담론화와 여론형성’ 주제의 세미나에 연사로 참여해 한국에서 초국가적 행동주의가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특정 글로벌 공룡 기업의 이익을 위해 여론이 형성되는 과정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레이튼 박사는 이 자리에서 “유튜버들이 이용하고 있는 초국가적 행동주의는 구글이 개발한 기술이자 전략이며 전 세계의 각기 다른 정치 규제와 입법 절차에 이용되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유튜버에 서명 운동을 독촉하고 구글의 입장을 대변하는 콘텐츠를 양산하게 하는 일들이 앞서 미국과 유럽, 인도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소개했다. ■ 구글은 어떻게 여론조작을 했나 우선 미국에서는 지난  2014 년 연방통신위원회( FCC )의 오픈인터넷 정책 입안 과정에서 세이브더인터넷( Save   the   Internet )과 같은 미국의 온라인 활동가를 동원해 최대한 강한 인터넷 규제를 만들라는 청원서를 보내도록 했다. 레이튼 박사는 “이때 동원된 사람들은  FCC 를 들어본 적도 없고 정책에 대해 잘 알지도 못했다”며 “그러나 그들은 자신이 적극 지지하는 집단에 의해 자극받았기 때문에 바로 그 특정한 시점에 위와 같은 활동을 했다”고 말했다. 결국  FCC 에는  400 만 개의 의견서가 전달됐고, 결국 오바마 전 대통령이 강력한 통신 규제를 만들게 했다. 1년 뒤 유럽에서 같은 일이